갯벌
세계 5대 갯벌: 북아메리카 미국 동부 조지아 해안, 캐나다 동부 해안, 남아메리카의 아마존 하구, 영국 독일 네달란드를 포함하는 북해 연안 그리고 대한민국의 서해 갯벌
해안에서 하루 중 해수면이 가장 높아졌을 때를 고조(만조), 가장 낮아졌을 때를 저조(간조)라 하며, 고조와 저조 때의 해수면의 높이 차이를 조차(조석차)라 한다. 그리고 조석에 의하여 변하는 해수면의 높이를 조위(조고)라고 한다.
조간대(갯벌)은 밀물 때의 고조선(만조선)과 썰물 때의 저조선(간조선)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말한다. 갯벌생태계에 해당하는 부분이 조간대이다. 조간대는 바닷물이 잘 닿지 않는 상부, 규칙적으로 물이 차고 빠지는 중부,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에 잠겨 있는 하부로 나눌 수 있다.
조석은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해 해수면이 주기적으로 올라왔다 내려갔다 하며, 주기적인 시간 간격으로 해수를 예측할 수 있는 밀물과 썰물을 말한다. 이 때 흐르는 해수의 수평 방향의 흐름을 조류라 한다. 갯벌은 이러한 조류의 운반 물질이 쌓여 이루어지는 해안 퇴적 지형이다.
조석(Tide)이란 달과 태양 그리고 지구의 상호인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해수면의 주기적인 승강운동(昇降運動)을 말하며, 조류(Tidal current or tidal stream)란 달과 태양 그리고 지구의 상호 인력에 의해 해수면의 상승과 하강에 동반되어 일어나는 해수의 주기적인 수평운동(水平運動)을 말한다. 즉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해수면의 주기적인 승강운동을 조석이라 하고,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주기적인 해수의 흐름을 조류라고 한다.
해류가 대체로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해류라고 한다.
모래 갯벌 조상대에는 단각목의 갑각류와 움직임이 빠른 달랑게류가 서식한다.중조간간대는 서식종이 다양하고, 하부는 성게, 갯지렁이류, 갑각류 그리고 큰 육식성 연체동물을 포함하여 가장 많은 종이 서식한다.
갯벌은 바닷가에 펼쳐진 넓은 바다 벌판인 것이고, 개펄은 갯벌을 덮고 있는 흙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