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학
현금 및 현금성자산
설렘들
2023. 1. 14. 21:36
+현금: 유동성이 가장 높으며 교환의 매개수단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산이다. 회계적인 측면에서 현금이란 통화뿐만 아니라 통화와 언제든지 교환할 수 있는 통화대용증권까지 포함되며, 보유현금뿐만 아니라 요구불예금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현금성자산: 현금성자산이란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 확정된 금액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 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이다. 이때 단기란 일반적으로 3개월 이내를 의미하므로 투자자산은 취득일로부터 만기일 또는 상환일까지 기간이 3개월 이내인 경우에만 현금성 자산으로 분류된다.
통화 | 지폐와 동전 |
통화대용 증권 | 타인발행당좌수표, 자기앞수표, 송금수표, 우편환증서, 만기가 된 공사채이자표, 배당금지급통지서, 국채환급통지서 |
요구불예금 | 당좌예금, 보통예금 |
현금성자산 |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중요하지 않은 자산(투자자산은 취득일로부터 만기일 또는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이내) |
-상환일이 정해져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이내인 우선주: 현금성자산
+우편환증서(postal money order): 우체국을 통해 현금을 보낼 때, 우체국은 현금을 보관하고 대신 증서를 배송한다. 수령인은 이 증서를 우체국에서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 증서를 우편환증서라고 한다.
+일람출급어음, 가계수표, 전신환, 송금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아닌 것.
-선일자수표: 수취채권으로 분류
-차용증, 타인발행약속어음, 부도수표, 직원급여가불증: 대여금, 수취채권으로 분류
-우표, 수입인지: 선급비용으로 분류
-당좌차월: 차입금으로 분류(동일 은행이 아니면 당좌예금과 상계하지 않는다.)
-당좌개설보증금: 비유동자산으로 분류
-정기예금, 정기적금, 환매채, 양도성예금증서, 국채: 기간에 따라 분류
-차임급 담보제공예금: 기간에 따라 유동자산, 비유동자산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