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역사

KOREA ON THE EVE OF HER OPENING

서양의 "고립"은 부정적인 의미로, 반외국적임을 뜻한다. 

 

19세기의 한국은 서양의 관점에서 고립된, 문명화가 덜 된 후방의 국가였다. 

 

한국은 통일신라(668-935)부터 인종적으로 언어적으로 동질을 이뤘다. 한국은 '중국의 권역'이라 일컫는 국제시스템의 일원으로 생각했다. 한국은 그들의 국가를 지리적으로 동국, 해동, 좌해, 동방으로 정의하였다. 

 

4세기 경에 공물 관계는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그 후 두 세기 동안 이러한 한국-중국의 관계는 더욱 확고해졌다. 

 

조선이 건국되고 명과의 관계는 유지되었다. 1592년 히데요시의 침략에, 중국은 조선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했다. 조공국에 대한 외부자의 침략을 막아내는 것. 이것은 단순한 호의에서 이루어진 것만은 아니지만, 조선에게 중요한 사건이 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조선에게 후에 청이 되는 만주와의 관계를 틀어지게 했다. 1644 건국

만주는 1627년 1636년 한국을 침공했고, 끝내 그들의 조건을 받아들이게 하였다. 조선의 왕은 만주의 봉신이 되었다. 그 후로 1645년부터 1894년까지 조선은 평균적으로 매년 두 번 그리고 추가적으로 통신사를 ㅍ

 

조선은 중국과는 사대 관계를, 일본과는 교린 관계를 형성했다. 일본과의 관계는 신라, 백제 시대부터 교류하였으며, 조선 왕조에 들어서 일본의 해적을 관리하기 위해 그들을 교역자로 바꾸는 정책을 펼쳤다. 일본의 침공은 그들에게 일본의 불신을 심어주었다. 1609년 이후로 조선은 부산항만을 교역항으로 지정했다. 

 

한국의 전통적인 "외국 관계"는 중국과의 조공관계 그리고 일본과의 제한적인 이웃관계로 특징지어진다.

Korea's traditional "foreign relations" thus were charaterized by tributary relations with China and restricted neighborly relations with Japan.

 

 

19세기에 이르러 서양의 배들이 통상을 요구하였다. 조선은 그들의 요구와 이질적인 사상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었다. 

 

흥선대원군은 

 

Korea's world view narrowed to two dimensions: the "celestial court" of china on the one side, and foreign "babarians" or "wlid animals" on the other.

 

흥선대원군의 1866 프랑스 1871년 미국 은 가짜 안정감과 준비를 느끼게 했다. 이러한 대원군의 정책은 한국의 고립을 유지시켰고, 외부세계와의 응답을 1874년까지 지연시켰다.

 

서양 국가들은 한국과 충돌했고, 북경에 그들의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나 중국은 그들의 종주국의 지위와 국제법을 동일하게 여기지 않았다. 중국은 조선이 전적으로 외국과의 문제와 종교의 전파는 그들의 법에 따른다고 했다. 중국은 조선의 일에 책임이 없다고 했다. 중국의 부족한 집중은 한국문제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을 감소시켰다.

 

그에 반해 일본은 1868년 메이지 유신을 통해 빠르게 발전하였다. 성장한 일본은 조선과의 관계의 변경을 요구했다. 

경제와 의식의 개정 일본의 요구는 한국의 인가를 일본의 인가로 대체하는 것이었다. 일본은 관계개선을 위한 대사를 파견했지만, 조선은 비정기적 사신에 대해 반발했다. 1871년 8일 일본의 대사가 한국에서 체포되었고, 이것은 일본 정부의 반발을 일으켜 "무력외교"를 요구케 했다. 일본은 왜관을 패쇄하고 오래된 관계의 전형을 끝내고자 ㅐㅎㅆ다. 1873년 준, 동래의 도지사가 문서에서 일본을 법이 없는 나라라 일컬었다. 이에 일본 정부는 정한론을 주장했다.

 

1871년 중국과 일본은 조약을 맺었다. 셉텀벌 13. 이것은 중국의 큰 실수였다. 일본이 한국과의 문제에서 중국에게 조정을 요청했을 때 중국의 총리아문은 1871년의 조약에 따라 요청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거부했다. 이러한 총리아문의 미온적인 태도와 애매모호한 의미의 ㅜㅁㄴ서는 일본에게 조선이 자신의 의지가 있다고 이해했다.

 

고종이 전적으로 정부를 장악했을 1874년, 그는 고립 정부를 상속받았다. 대원군의 왕권강화정책으로 왕권은 강력했다. 대원군은 외척을 처다냏ㅆ고, 의정부를 재건했다. 

 

정부는 억제되지 않는 재화의 유출이 사람들의 삶에 필요한 것을 걱정했다. 고종은 정치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자급자족하는 국가를 상속받았다. 

 

 

 

 

 

hermit nation 은둔 군가

seclude 은둔하다, 고립시키다

seclusion 은둔

vassal-state 속국

suzerain-state 종주국

sovereignty 통치권, 자주권

Confucian 유교의

Confucianism 유교

secluded 고립된

tributary 공물

Meiji Restoration 메이지 유신

heterdox ideas 이절적인 사상

 

 

seikanron (프) 정한론

 

Li Hung-chang 리홍장, 청나라 외교관

Tsungli Yamen 총리아문, 청나라 외교와 양무 관할 관청

 

MartinaDeuchlerOpeningEve.pdf
3.20MB

 

'인문학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國遺事』 권1, 紀異, 古朝鮮[王儉朝鮮]  (2)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