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흘러갈 생각

(5)
마르셀 뒤샹의 '샘', 의미의 소실 큐레이터가 마르셀 뒤샹의 샘을 빌려와 전시하였다. 그런데 샘과 똑같은 변기 두 개를 더 가져와 전시하였다. 그리고 세 개의 변기를 모두 반납하였다. 반납받은 사람은 큐레이터에게 무엇이 진짜 샘이냐고 물었고 큐레이터는 모르겠다고 했다. 사람은 하나의 변기를 가리키며 이건가요? 물었고 큐레이터는 그렇다고 했다.
광개토대왕릉비 해석 (제1면) 惟昔始祖鄒牟王之創基也, 出自北夫餘, 天帝之子, 母河伯女郞. 剖卵降世, 生而有聖□□□□□. □命駕, 巡幸南下, 路由夫餘奄利大水. 王臨津言曰, 我是皇天之子, 母河伯女郞, 鄒牟王, 爲我連葭浮龜. 應聲卽爲連葭浮龜. 然後造渡, 於沸流谷, 忽本西, 城山上而建都焉. 不樂世位, 因遣黃龍來下迎王. 王於忽本東, 履龍頁昇天. 顧命世子儒留王, 以道興治, 大朱留王紹承基業. 遝至十七世孫國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 二九登祚, 號爲永樂大王. 恩澤洽于皇天, 武威振被四海. 掃除□□, 庶寧其業. 國富民殷, 五穀豊熟. 昊天不弔, 卅有九, 寔駕棄國, 以甲寅年九月廿九日乙酉遷就山陵. 於是立碑, 銘記勳績, 以示後世焉. 其詞曰. 永樂五年歲在乙未, 王以稗麗不□□人, 躬率往討. 過富山負山, 至鹽水上, 破其三部洛六七百營, 牛馬群羊, 不可稱數. 於是旋..
소크라테스의 변론 소크라테스는 멜레토스의 고발로 법정에 서게 된다. 그리고 멜레토스의 고발을 "나중의 고소"로 정하고, "최초의 거짓된 고발"에 대해 설명하며 우선적으로 변론한다. 최초의 거짓된 고발은 소크라테스에 대해 아테네민들이 갖고 있던 선입견이라 할 수 있겠다. "소크라테스는 죄를 지었으며 주제넘은 짓을 하고 있으니, 그건 땅 밑과 하늘에 있는 것들을 탐구하는가 하면, 한결 약한 주장을 더 강한 주장으로 만들며, 또한 바로 같은 이것들을 남들에게 가르치고 있어서입니다." 이러한 비방에 소크라테스는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은 '에우에노스'같은 전문지식을 갖고 있지 않기에 자신은 남을 가르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대신 자신에 대한 이러한 비방이 생기게 된 연유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소크라테스보다..
진화론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나치즘의 전쟁 예찬 파시즘 자체를 구조화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파시즘의 대표적인 예는 이탈리아 무솔리니와 독일의 히틀러가 제시된다. 문제는 이 둘의 행보도 상당부분 차이가 존재하기에 이 둘을 하나의 파시즘을 묶는 것에 의문을 가지는 학자들 역시 존재한다. 그렇기에 독일 히틀러의 나치 정권에 제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나치즘은 여러 가치를 내세웠는데, 그 중 가장 근본적인 것은 갈등, 투쟁 그리고 전쟁의 예찬이라고 생각한다. 이 가치의 기반을 이루는 사상은 찰스 다윈의 이론이다. 생존을 위한 투쟁은 종의 생물학적 진화를 촉진하며 강한 종만이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적자생존 이념은 하버트 스펜서에 의해 생물 진화의 원리가 인간 사회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 사회진화론으로 연결되었고, 나치는 이러한 ..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맘에 안 들어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정확히 하자면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자체를 논하기보다 그가 제시한 하나의 명제를 논하고자 한다.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들어봤을 것이다. "만족한 돼지이기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인 편이 더 낫고, 만족한 바보이기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인 편이 더 낫다." 존 스튜어트 밀 이전의 공리주의는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였다. 그의 공리주의는 쾌락을 유일한 선으로 보고, 고통을 유일한 악으로 보았다. 이것은 쾌락의 극대화와 고통의 최소화라는 단 하나의 원리만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간단하다. 이 원리에 따르면 무절제한 쾌락을 추구하는 한량의 삶이 절제하며 지식을 추구하는 현자의 삶보다 선한 삶으로 평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벤담의 공리주의는 돼지의 철학이라는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