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학

(8)
회계의 ~ 가치 순공정가치: 공정가치-처분부대원가 사용가치: 자산에서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 회수가능액: Max[순공정가치, 사용가치]
회계계정 이름 +유형자산 정부보조금(자산차감항목) 이연정부보조금수익(부채) 정부보조금수익 정보보조금상환손실 유형자산손상차손 손상차손누계액(자산차감항목) +금융자산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AC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FVOCI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FVPL금융자산) 손실충당금(금융자산차감항목)
포괄손인계산서 성격별·기능별 분류방법
판매비와 관리비 +판매비와 관리비 급여, 퇴직급여, 명예퇴직금, 복리후생비, 임차료, 접대비,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세금과공과, 광고선전비, 연구비, 경상개발비, 대손상각비 (판매비와 관리비 부(-)의 계정) 퇴직급여충당부채환입, 판매보증충당부채환입, 대손충당금환입
결손금(缺損金)과 이월결손금 결손금은 일정한 기간 동안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서 생긴 손실의 금액이다. 이월결손금은 이전 사업 연도에서 처리되지 않은 채 이월된 결손금이다. 차기 이후의 이익금으로 전보되거나 감자의 절차를 걸쳐 소멸된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 +현금: 유동성이 가장 높으며 교환의 매개수단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산이다. 회계적인 측면에서 현금이란 통화뿐만 아니라 통화와 언제든지 교환할 수 있는 통화대용증권까지 포함되며, 보유현금뿐만 아니라 요구불예금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현금성자산: 현금성자산이란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 확정된 금액이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 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이다. 이때 단기란 일반적으로 3개월 이내를 의미하므로 투자자산은 취득일로부터 만기일 또는 상환일까지 기간이 3개월 이내인 경우에만 현금성 자산으로 분류된다. 통화 지폐와 동전 통화대용 증권 타인발행당좌수표, 자기앞수표, 송금수표, 우편환증서, 만기가 된 공사채이자표, 배당금지급통지서, 국채환급통지서 요구불예금 당좌예금, 보통예금 현금성자산..
수표의 종류 송금수표 선일자수표: 수취채권으로 분류한다. 자기앞수표 타인발행수표 여행자수표 타인발행당좌수표 부도수표: 수취채권으로 분류한다.
회계 용어 영어 약자 정리 Dep, depreciation : 감가상각비 BV, book value: 장부가액 FV, fair value: 공정가치 PV, present value: 현재가치 OCI, other comprehensive income: 기타포괄손익 N/I, net income: 당기순이익 F/S, financial statements: 재무제표 B/S, balance sheet: 재무상태표 I/S, income statements: 손익계산서 PL, profit and loss: 손익계산서 CF, cash flow: 현금흐름표 CFS,statement of cash flow: 현금흐름표 CE, statement of change in equity: 자본변동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