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분포: 해수면의 수평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조간대 생물의 분포.
-광온성(廣溫性, eurythermal): 적온범위가 넓은 생물
-협온성(狹溫性, stenothermal): 적온범위가 좁은 생물
-생물부착방해제(TBT, Tributyltin):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 생물이 달라붙지 못하도록 페인트에 첨부하는 물질
-입도: 퇴적물 알갱이의 크기
-세립질 모래: 크기가 0.06~0.2mm 정도의 모래
-조립질 모래: 크기가 0.6~2mm 정도의 모래
-모세관 현상: 중력의 도움 없이 액체가 좁은 관을 오르는 현상이다. 물 분자 사이에는 표면장력이 있어 가는 관에서는 아무런 힘을 가해주지 않아도 물이 위로 올라갈 수 있다.
-간극수: 모래와 모래 사이에 있는 물
-간석지: 펄 갯벌
-서관: 얇은 막이나 키틴질을 분비하여 만든 관
-기수: 담수에 의하여 묽어진 해수로 염분도 0.5~30%
-염분도: 해수 1kg 당 염류의 g수 단위
-1 퍼밀: 0.1% ( % 는 100을 기준, 퍼밀은 1,000을 기준)
-삼투 조절: 서로 다른 염분 농도의 두 유체가 고염분 농도에서 저염분 농도로 이동하며 반투막을 통과하여 같은 농도로 만드는 물리적 과정을 삼투라고 한다. 생물체 내의 체액은 주변의 액체보다 이온 농도가 높으므로 평행 상태가 아니다. 생물체내의 체액은 반투막에 의해 외부와 격리되어 있다. 물은 반투막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내로 들어가서 체액을 희석시켜 농도 차이를 없애려 한다. 원할한 신진대사를 위해 들어온 물을 다시 세포 밖으로 내보내야 한다. 이렇게 염분 변화에 체액의 이온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을 삼투조절이라 한다.
-리아스식 해안: 빙하기 당시 대부분이 육지다가, 이후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함으로써 생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골짜기에는 만(바다가 육지 속으로 파고들어 와서 형성된 곳)이 형성되고, 산봉우리는 섬으로 남게되었다. 수심이 얕은데다, 해안선이 복잡하기 때문에 양식 등에 유리하다. 해안선이 복잡하며, 곶과 만이 많다.
-융기 해안(隆起海岸):
-침강 해안(沈降海岸):
-람사르 협약: 1971.2.2. 이란의 람사르에서 채택된 협약으로, 국제적으로 물새 서식지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이다. 정기적으로 2만 마리 이상의 물새 관찰 지역 또는 정기 이동 통로 상에서 물새의 종가운데 총 개체수가 1% 이상 관찰되는 지역이다.
-내륙습지: 육지나 섬 안에 있는 호수, 연못, 하구 등의 지역
-연안습지: 고조 시 조위가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에서부터 저조시 조위가 지면에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 조간대 갯벌을 의미
-대조(大潮, 사리, 큰사리, 한사리): 태양과 지구, 달이 같은 선상에 놓여 태양의 조석력과 달의 조석력이 합쳐지는 시기.
-소조(小潮, 조금, 작은사리): 반달 때에 태양과 달이 지구를 중심으로 90도 위치에 놓여 조석력이 상쇄되는 시기
-물때표: 하루 4번 간조와 만조(대략 6시간씩인 2번의 간조와 만조) 시간을 알려주는 표
'생물학 > 갯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벌 종류에 따른 갯벌 생물 (0) | 2023.01.15 |
---|---|
갯벌의 형성 과정과 갯벌의 종류 (1) | 2023.01.15 |
갯벌 (0) | 2022.12.26 |
말뚝망둥어와 짱뚱어 구분 (0) | 2022.12.26 |
갯벌 구멍의 주인은 누구일까 (0) | 2022.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