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물학/갯벌

갯벌의 형성 과정과 갯벌의 종류

+갯벌이란

 

+갯벌의 형성과정

 

+갯벌의 종류

-펄갯벌: 파도의 흐름이 아주 느리거나 정지된 곳에 생긴다. 주로 아주 작은 입자인 진흙질(泥質)의 퇴적물로 이루어진다. 간석지(干潟地)라고도 한다. 펄갯벌에는 구멍을 잘 파는 생물들이 살기에 적당하다. 칠게, 농게, 방게, 세스랑게 등의 게 종류, 두토막눈썹참갯지렁, 흰이빨참갯지렁이 등의 갯지렁이 종류, 가리막, 가무락조개, 작은 새알조개 등의 조개류 등이 서식한다.

-모래갯벌: 파도의 흐름이 비교적 빠른 곳에 만들어진다. 따라서 물의 흐름과 출렁임을 알 수 있는 물결무늬(연흔)가 두드러진 게 특징이다. 모래입자가 내려앉아 이루어진다.모래갯벌은 굴파기에 아주 좋은 환경이다. 달랑게와 엽낭게가 대표적이다. 민들조개, 개랑조개, 백합, 떡조개, 맛, 대맛 등의 조개류, 꽃갯지렁이, 큰검은갯지렁이, 밀집날개갯지렁이 등 갯지렁이 종류 등이 서식한다.

-혼합갯벌: 펄과 모래가 고루 섞여 있는 갯벌이다. 우리나라 갯벌 중 가장 넓은 지역을 차지하는 종류의 갯벌로 완만한 경사면의 해안에서 만들어진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낙지가 서식하며, 풀게, 딱총새우, 쏙, 쏙붙이 등 갑각류이 많다. 바지락, 굴, 왜홍합, 따개비, 댕가리, 비틀이고둥, 갯비틀이고둥, 갯우렁이, 털보집갯지렁이, 넓적집갯지렁이 등이 있다.

-바위갯벌

 

+지형에 의한 구분

-하구형갯벌: 비교적 규모가 큰 하천이 유입되어 연안에 발달한 갯벌을 말한다. 

-만입형갯벌: 폐쇄형 갯벌과 반폐쇄형 갯벌로 구분할 수 있다. 폐쇄형 갯벌은 만의 입구가 좁아서 파랑으로부터 보호를 받아 만 안쪽에 발달한 갯벌로서 대부분 펄갯벌이 우세하며, 반폐쇄형 갯벌은 만의 입구가 넓어서 만의 입구쪽에서는 파랑의 영향이 강하지만 만의 안쪽으로 들어가면 파랑이 약화되어 형성된 갯벌을 말한다.

 

'생물학 > 갯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엽낭게와 달랑게  (0) 2023.01.16
갯벌 종류에 따른 갯벌 생물  (0) 2023.01.15
갯벌 관련 용어  (0) 2022.12.27
갯벌  (0) 2022.12.26
말뚝망둥어와 짱뚱어 구분  (0) 2022.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