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22) 썸네일형 리스트형 황금가지 제임스 프레이저는 네미의 숲에서의 주술 의식을 탐구한다. 네미의 숲은 숲의 여신인 디아나의 성소였다. 여신을 섬기는 네미의 사제는 사제직을 노리고 도전하는 사제 후보자와 싸운다. 사제 후보자는 나무의 가지를 꺾고 사제에게 도전하며, 사제를 죽여 사제직을 계승한다. 제임스 프레이저는 두 가지 의문을 제시한다. 네미에서 디아나의 사제인 숲의 왕이 되기 위해서는 왜 이전의 사제를 죽여야만 하는가. 그리고 사제를 죽이기 전에 고대사람들이 베르길리우스의 ‘황금가지’라고 생각한 나뭇가지를 꺾어야만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제임스 프레이저는 우선 기본이 되는 주술의 원리를 설명한다. 주술의 기초가 되는 사고의 원리를 분석하면 다음 두 가지로 귀결된다. 하나는 닮은 것은 닮은 것을 낳는다는 것이다. 결과는 그 원인을 닮.. 그리스 비극의 구성 요소 『시학』 제 12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양적인 관점에서 정의한 비극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프롤로고스(prologos) 등장인물이 이암보스(iambos) 3보격으로 대사를 말하면서 극이 시작하는데, 프롤로고스는 여기서부터 코러스가 오케스트라에 등장하기 전 부분까지를 말한다. 등장인물은 대사를 통해 극이 전제하는 신화의 전사(前事)를 이야기하고, 다른 등장인물들을 소개하여 성격을 묘사하며, 극 행동의 시간과 장소를 알려 준다 파로도스(parodos) 코러스가 오케스트라로 입장하면서 아나파이스토스(anapaistos) 운율로 노래하는 부분이다. 파로도스도 극이 전제하는 신화의 전사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에페이소디온(epeisodion) 두 개의 코러스 노래 사이에 끼어들어 간 부분으로, 연극의 막.. 에우리피데스 - 알케스티스, 메데이아, 힙폴뤼토스 이전 1 2 3 4 5 6 7 8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