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지식

로마네스크 성당

로마 제국의 재건

 

 

6-11세기, 12세기에 고딕 양식으로 발전

 

11세기 로마네스크의 한 건축유형은 거대하고 규모와 견고한 구조 그리고 석재궁륭이 특징이다. 과거 목재로 구성된 천장은 화재의 위협에 빈번하게 노출되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석재궁륭은 교회건축의 의식을 바꾸었다. 

 

반원형 궁륭(barrel vault)

 

로마네스크 건축은 그 당시의 잦은 전쟁으로 인한 석재구조를 사용함으로 육중한 특질, 두꺼운 벽, 둥근 아치, 튼튼한 기둥, 그로인 볼트, 큰 탑과 장식적인 아케이드(늘어선 기둥 아래의 공간)로 잘 알려져 있다

 

  • 석재 및 벽돌 건설, 가연성 목조 지붕 피함
  • 원형 로마 아치 스타일의 지원 및 장식을위한 둥근 아치
  • 석조 지붕의 무게를 지탱하고 내부 높이를 높이기 위해 배럴당 금고 (예 : 터널 형 금고) 및 사타구니 금고, 두 개의 배럴 볼트를 직각으로 교차시킨 교차 그로인 볼트로 횡압력을 네 지점으로 분산.
  • 내부 높이를 높이기 위해지면에서 20 피트 이상되는 두꺼운 벽
  • 두꺼운  을 안정시키기위한 부벽  진화
  • 계단 모양의 아치형 입구에 뚫린 진입로 입구
  • 비잔틴 돔을 대체하기 위해 고딕 형 첨탑으로 모핑하는 종탑
  • 창문으로 된 작은 창문
  • 라틴 십자가 주위에 설계된 기독교 교회 평면도
  • 예술과 건축의 통합

배럴 볼트: 볼트는 아치를 길이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개념이다. 아치가 지붕과 실내공간을 갖지 않는 이차원 구조인데 반해 볼트는 둘 모두를 갖는 삼차원 구조이다.

 

배럴볼트의 장점

-로마시대 때 쓰인 볼트 중 하나인 배럴 볼트는 아치를 한 방향으로 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가장 시공이 쉽고 실용성이 높은 구조이다. 

-길이를 마음대로 늘일 수 있었으며 일정범위 내에서는 폭 변화에 적응하기 쉬웠다. 배럴 볼트는 곡선편명 위의 축조에 유리해서 환상볼트가 되었고, 경사지에는 경사볼트를 만들어 적응했다.

-중앙이 높은 곡면 천장은 공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었고 평 천장과 비교했을 때 하늘로 향하는 힘이 더 강하게 느껴지면서 공간은 웅장함과 위엄을 가졌다. 이러한 특징들은 현세적이고 과시적인 로마인들의 기질에 잘 맞았다.

 

배럴볼트의 단점

-곡면 천장의 무게가 많이 나간다는 점이다. 따라서 곡면 천장을 받치기 위해 두터운 벽체가 공간의 전 길이에 걸쳐서 필요했고, 이것은 구조체를 지나치게 무겁고 둔탁하게 만드는 문제를 낳았다.

-개구부를 내기가 어려웠으며 채광과 한기 등에서 불리했다. 폭이 일정 범위를 넘어가면 문제는 더 커졌는데 곡면 천장이 반원형이었기 때문에 폭이 넓으면 붕괴의 위험이 있었다. 

 

 

라틴 크로스 형태

 

네이브와 트란셉트의 교차점에 돔이 올라오게 됨

 

바실리카 양식에서의 중정이 없어지고, 파사드의 일부가 됨. (웨스트 워크)

 

벽화들

 

평면형태는 십자가형, 실내는 중앙 복도 네이브와 양옆 복도인 아일로 구분

주 재료, 벽체를 벽돌을 주재료로 모르타르로 쌓고, 표면은 석재를 붙이거나 회벽칠을 하였다.

필라스터 Pilaster 설치: 벽면의 단조로움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 처음에는 장식적 요소로만 사용되다가 나중에는 지붕의 하중을 받는 구조적인 역할

 

종탑의 등장. 교회 건축의 종탑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에서 시작된 것이다.

피사의 사탑도 로마네스크 건축인 피사 성당의 종탑이다.

 

견고한 석조건물, 둥근 아치, 석조의 반원 형태의 돔

로마네스크 회화, 벽화프레스코화

 

거대한 관절 벽 구조, 둥근 아치 및 강력한 둥근 천장을 특징르호 하는 로마 및 비잔틴 요소를 기반으로 한 건축 스타일